써먹는 웹개발

[ES6] Arrow Function의 정의 및 일반 function과 차이점 본문

웹개발/ES6, ES2020

[ES6] Arrow Function의 정의 및 일반 function과 차이점

kmhan 2019. 12. 11. 11:04


728x90
반응형

1. Arrow Function - 화살표 함수

 - 함수를 정의할때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 로 대체

 - 흔히 사용하는 콜백 함수의 문법을 간결화

// ES5 함수 정의 방식
var sum = function(a, b) {
  return a + b;
};

// ES6 함수 정의 방식
var sum = (a, b) => {
  return a + b;
}

sum(10, 20);

※ 매개변수가 1개일때는 소괄호 생략 가능

var sum = x => {
  return x;
}

 

 

  - 반복문 예시

var arr = [1,2,3];
// ES5 함수 정의 방식
arr.forEach(function(value) {
  console.log(value);
});

// ES6 함수 정의 방식
arr.forEach((value) => {
  console.log(value);
});

 

 

2. 일반 function과 차이점

 

화살표 함수는 ES6 문법에서 함수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입니다. 이 문법은 주로 함수를 파라미터로 전달할 때 유용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setTimeout(function() {
 
  console.log('hello world');
 
}, 1000);
 
 
 
setTimeout(() => {
 
  console.log('hello world');
 
}, 1000);

 

하지만 이 문법이 기존 function을 대체할 수 없는 것은 용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서로 가리키고 있는 this 값이 다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function BlackDog() {
 
  this.name = '흰둥이';
 
  return {
 
    name'검둥이',
 
    bark: function() {
 
       console.log(this.name + ': 멍멍!');
 
    }
 
  }
 
}
 
 
 
const blackDog = new BlackDog();
 
blackDog.bark(); // 검둥이: 멍멍!
 
 
 
function WhiteDog() {
 
  this.name = '흰둥이';
 
  return {
 
    name'검둥이',
 
    bark: () => {
 
       console.log(this.name + ': 멍멍!');
 
    }
 
  }
 
}
 
 
 
const whiteDog = new WhiteDog();
 
whiteDog.bark(); // 흰둥이: 멍멍!

 

function()을 사용했을 때는 검둥이가 나타나고, () =>를 사용했을 때는 흰둥이가 나타납니다.

일반 함수는 자신이 종속된 객체를 this로 가리키며, 화살표 함수는 자신이 종속된 인스턴스를 가리킵니다.

 

 

 

출처 : 책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p.89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