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웹개발/Js & Jquery (83)
써먹는 웹개발
1. 0으로 초기화 개선 전 1 2 3 4 5 let arr = Array.from(Array(100),() => Array(100)); for(var i=0;i new Array(100).fill(0)); console.log(arr);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ES2020에서 새롭게 추가된 연산자로 Nullish Coalescing Operator이라고 부른다. ?? 두개면 null이거나 undefined인 경우에만 리턴한다. let choose = A ?? B A가 null이거나 undefined이면 B를 리턴하고 아니면 A를 리턴한다. 참고 : https://seo-tory.tistory.com/38

1. 변수 뒤에 느낌표가 들어가면 null이 아니니 제약 조건을 완화해달라는 뜻 1 2 3 4 5 6 7 // 앞이 false이면 new 호출 res.code === Mysql.Const.SUCCESS ! || new CustomError(ErrorCode.QUERY_EXEC_ERROR); // 위를 좀더 이해 쉽게 쓴 것 if (!(res.code === Mysql.Const.SUCCESS)) { new CustomError(ErrorCode.QUERY_EXEC_ERROR);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2. 옵셔널 체이닝을 쓰면 특정 속성을 잘못 접근할때 에러가 나게 처리하지 않고 undefined를 리턴한다는 뜻이다. 참고 : https://developer-talk.ti..
확실한 논리결과를 가지기 위해 사용됨 - 결과 a가 true 일때 !a : false !!a : true b가 undefined 일때 !b : true !!b : false c가 null 일때 !c : true !!c : false - 예제 1) 적용 전 1 2 3 4 5 var data = "1"; if(data != undefined && data != "") { //실행 함수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2) 적용 후 1 2 3 4 5 var data = "1"; if(!!data) { //실행 함수 } cs - 결론 : [undefined, "", 0] 일 경우 결과는 false, 그 외에 결과는 모두 true 이다. 연상암기 : !는 없으면, !!는 존재하면 출처 : ..
1. id - var valueById = $('#inputId').val(); 2. class - var valueById = $('.inputClass').val(); 3. name - var valueById = $('input[name=inputName]').val(); ※ name이 가끔 헷갈려서 남긴 글입니다.
1. 에러 원인 : 2-1 소스 10번줄 each함수 안에 menuL 값이 undefined - menuL 값이 대입되기 전에 each 함수 호출 2-1. 수정 전 소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comm.net.ajax("getLargeMenuList.do", {}, function(result) { if(result.resultData) { menuL = result.resultData; } }); comm.net.ajax("getMediumMenuList.do", {}, function(result) { if(result.resultData) { menuM = result.resultData; $.each(menuL, function() { ... } } }); Co..
웹 스토리지 객체인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는 브라우저 내에 키-값 쌍을 저장 할 수 있게 해줍니다. sessionStorage의 특징 : 페이지를 새로고침해도 데이터가 남아있음 localStorage의 특징 : 브라우저를 다시 실행해도 데이터가 남아있음 두 스토리지 객체는 동일한 메서드와 프로퍼티를 제공합니다. setItem(key, value) : 키-값 쌍을 보관합니다. getItem(key) : 키에 해당하는 값을 받아옵니다. removeItem(key) : 키와 해당 값을 삭제합니다. clear() : 모든 것을 삭제합니다. key(index) : 인덱스(index)에 해당하는 키를 받아옵니다. length : 저장된 항목의 개수를 얻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