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ient (65)
써먹는 웹개발
파일 업로드 시 IE 보안 상 경로가 fakepath 로 잡혀버린다. IE에서는1. 인터넷 메뉴 [도구] - [인터넷 옵션] - "보안" 탭메뉴 화면 선택 2. [사용자 지정 수준] 클릭 3. 아래와 같은 "보안설정"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할 때 로컬 디렉토리 경로 포함" '사용'으로 지정 5. 확인을 눌러 적용[출처] fakepath 경로 문제|작성자 bde6891
텍스트큐브에서 '블로그 아이콘 표시' 확장기능(플러그인)을 쓰면 XHTML 문법 검사에서 걸리는 항목이 생긴다. 이 확장기능이 태그에 onerror 항목을 넣어서 블로그 쪽그림(index.gif)을 찾을 수 없는 덧글에 아무개 그림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XHTML 문법은 HTML의 꾸밈 요소를 CSS나 자바스크립트에 떼어놓게 하고 있다. 텍스트큐브가 따르는 XHTML 1.0 transitional 문법을 철저히 따른다면 onerror는 HTML 태그 안에 넣지 않고 자바스크립트로 넣어야 한다. onerror 하나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를 써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텍스트큐브 게시판에서 아래 게시물을 비롯하여 onerror 문제에 관하여 논한 게시물을 볼 수 있었다. 블로그 아이콘과 onerro..
일반적으로 블로그 등의 웹페이지 레이아웃으로 가운데 정렬이 많이 쓰인다. 이렇게 가운데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CSS style 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한다. #container { margin:0 auto; } 그런데 페이지의 내용이 길어지면 브라우저에 세로 스크롤바가 만들어지는데, 이 때 스크롤바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가운데 정렬된 레이아웃이 약간 위치를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내용이 짧은 페이지 (=스크롤바가 없는 페이지) 와 내용이 긴 페이지 (=스크롤바가 있는 페이지) 를 전환할 때 레이아웃이 미세하게 좌우로 움직이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항상 브라우저에 스크롤바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body 태그에 다음 스타일을 추가한다. bo..
ime-mode 속성은 IME(Input Method Editor)의 상태를 반환하거나 설정합니다. 로그인 폼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나 우편번호를 찾기 위해서 동이름을 입력하는 경우 한글/영문을 기본으로 지정해 놓으면 상당히 편리한데 이런 경우 사용하는 속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me-mode 속성의 값은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auto 기본값으로 ime-mode 값이 지정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active 활성화 된 상태입니다. 값을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한글이 입력됩니다. 우편번호를 찾기 위해서 동이름을 입력하는 경우 많이 사용됩니다. inactive 비활성화 된 상태입니다. 값을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영문이 입력됩니다. 아이디 입력시 많이 사용합니다. disab..
이미지 맵이나 버튼 또는 이미지 등에서 a href="#" 을 사용하면 페이지 최상단으로 화면이 이동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a href="#here" 등과 같이 id 값이 없는 name 을 작성해 주면 화면 이동을 하지 않는다. 출처 : 사이트 사라짐
아하하 아하하 라디오버튼이나 체크박스 텍스트와 줄이 안맞아서 보통 td를 나눠서 줄을 맞추곤 했었는데 아래 소스 처럼 하면 간단히 해결이 되는군요;; 아하하 아하하 세밀하게 맞출때는 아하하 아하하 아하하 이렇게 vertical-align 속성으로 조절해도 편리하지요.. ------------------------------------------------------------------------------------------------------------------------------------------------ 또 예를들어 익스에서는 vertical-align: 3px 하면 맞지만 파이어폭스에서는 vertical-align: 4px 해야 맞더라! 그럴때는, 아하하 이런식으로 두 브라우저간의 ..
잠금이 된 텍스트 폼 필드 스크롤 글상자에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Del키를 눌러보기도 하고, 커서로 틀릭하여 보세요. 지워지지도 않고, 커서가 들어가 있지도 않을 것입니다. 출처 : 사이트 사라짐
대부분의 브라라우저는 흰색을 바탕색으로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이너/개발자들은 흰색 바탕의 웹 페이지를 개발할 때 그저 태그만 사용하고 만다.이렇게 BODY 태그에 배경색을 지정하지 않은 사이트는 여전히 국내외적으로 상당히 많다. 대표적인 포털 사이트인 미국 야후 사이트 경우만 봐도 태그에 bgcolor 속성을 지정하지 않았다.하지만 모든 브라우저의 바탕색이 흰색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MS 윈도우즈 플랫폼이 아닌 곳에서 오페라(Opera)나 아미가(Amiga)같은 브라우저를 사용할 경우 바탕색이 회색이고, 인터넷 익스플로러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환경 설정에서 색 구성을 달리 했다면 바탕색이 흰색이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웹 페이지 배경색이 당연히 흰색일 거라고 가정하고 만든 이미지들이 ..